짤랑거리기...
다양한 구름.....
심연의 숲
2008. 11. 12. 15:56
![]() 대충 보는 지구상 구름의 큰 예. 이렇습니다... ![]() 우주상에 떠다니는 2광년이 넘는 거대한 구름.....(성운이라고도 하죠) ![]() (타이탄의 구름) ![]() (목성의 구름) 목성에서 보여지는 15만 미터의 거대한 소용돌이 폭풍 덩어리와 다르게 물로만 이루어진 순수한 것들이라고 할수 있습니다. 물른 지구의 것들도 이물질이 없지는 않겠습니다만은. ![]() 사실 다른 행성의 구름과는 다른 무척 순수하고 깨끗한 녀석들이라고 할수 있습니다. 구름의 생성은 대충 이렇습니다. ![]()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가 올라가서 응결고도(대강 1천미터. 기압에 따라서 다릅니다) 까지 올라가면 기압과 온도가 낮아지고... 그 기압이 낮아진 자리를 채우기 위해 물방울이 생기고.... 그 물방울들이 자기네들끼리 모여서 생긴 덩어리가 구름이라고 하죠... 그리고 사실 구름은 계속 추락하고 있는게 맞습니다. 하지만 그 물방울이 워냑 가볍고 물방울이 없어지고 새로 생기는데다 상승기류까지 구름 자체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구름은 추락하지 않는것 입니다. 구름의 종류에는 몇가지 있는데. "대략 지상 1000미터 내외에서 떠돌고 다니는 난층운"들 ![]() 비를 내리기도 하고 그다지 엄청난 비를 선사하는 구름들은 아닙니다. ![]() 두껍긴 하지만.... 그렇게 거대한편은 아니고 마치 담요같은 느낌입니다. ![]() 두께도 역시 1000미터 내외가 되겠지요... 더 두꺼운것도 있지만 말입니다. ![]() ![]() "더 커지면 적란운의 알격이 되는 적운들" 입니다. ![]() ![]() ![]() 여름에 한껏 분위기를 내는 그런 구름들이지요. ![]() 바다에 병풍처럼 늘여져 있는 구름들중 하나 입니다. 그 높이는 난층운보단 약간 높지만 비교할만한 단계는 아니라고 보네요. 두께는 대충 5000미터이거나 그 이상일 경우가 많습니다.. 저놈이 더 자라고 더 괴물처럼 변하면 바로 밑의 놈이 됩니다... ![]() "구름계의 대왕.... 거대한 적란운" 이놈들이 소나기를 유발하는 거대한 구름입니다. ![]() 보기만 해도 경외감이 느껴지는 구름이고. ![]() ![]() 그 크기와 구조자체가 굉장히 엄청난 변이를 일으키는 놈이라. 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그 마찰로 뇌전도 많이 생깁니다... 한마디로 요란한 놈이라고 볼수 있지요. 본디 구름들은 1만 미터까지의 대류권(공기가 움직이는 공기층)까지 닿는경우가 대다수인데.. 이 놈들은 삘받으면 1만미터까지 키가 자랍니다... 천정에 머리가 부ㄷㅣㅊ혀서 저렇게 위는 평평하게 되는겁니다.. 뚫고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더군요.... ![]() 이것들은 "채운"입니다.. 딱히 분류해도 좀 뭐시기한 형태이죠.. 특징이라면 말이죠 이놈들을 통과한 빛이 경로가 급격하게 바뀌는 현상... ![]() 그걸로 인한 무지개 효과라고 하지만....(회절현상이라고 합니다만) 그냥 여타 구름과 다를것은 없어 보입니다... ![]() 이건 "진주운"인데... 꼭 수증기가 아닌 이상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마치 외계 구름과 비슷한 놈입니다... 그 구성 물질은 화산 분연이라던가 유성우의 먼지 같은건데요... 놀라운 사실이지만.. 이넘들이 오존층 파괴를 돕거나... 주도한다는군요.... ![]() "렌즈운"입니다... 가끔 UFO로 오인하는 굉장한 구름인데요.. 사실 오인하게 생기긴 했습니다... ![]() 그 형태가 워냑에 기상천외해서 말이지요... ![]() 지형의 요인으로 생기는 대표적인 구름입니다... ![]() ![]() 이 구름은 "유방운"이라고 합니다만... ![]() ![]() ![]() 구름 표면의 무수한 모양의 소용돌이에 의해서 생기는 거라고 하는군요... 생긴다 해도... 몇시간이면 소멸해버린다는 구름입니다.. ![]() (고적운의 사진입니다.) ![]() (권운입니다.) "하늘의 천정에 달려있는 권운.... 고적운.." 기본 8000미터 이상에 떠 있는 놈들입니다.. 하늘의 천정(여기서 천정이란 개념은 1만 키로미터의 대류권)에 붙어다니는 녀석들이지요... 별볼일은 없지만.. 이넘들의 구성 성분은 응결된 얼음 입자라지요.. (기온이 기온이다보니..) 듣기로 권운이... 몰려오면 비가 온다는 전초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. ![]() 그밖에 기류의 만남으로 생긴다는 "구름의 벽.." < 출처 - 구글 검색, 네이버 학술 관련 블로그 , 과학 사진 도서관(국제) 우주까지 생각할 필요도 없고. 당장 저 구름의 크기와 비교하면.. 그져 경외감입니다... |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구름의 종류가 저렇게 많다는 건 처음 알았네요.... 모양도 다양하고.... 이젠 대충 그려놓고.... 구름이라고 박박 우겨도 될듯.....-ㅅ-;;